10년동안 적금밖에 모르던 39세 김과장은 어떻게 1년 만에 부동산 천재가 됐을까?(김재수(렘군) 지음)_ 부동산이라는 작은 세상을 통해 배운 것
본문 바로가기

부자 되는 책

10년동안 적금밖에 모르던 39세 김과장은 어떻게 1년 만에 부동산 천재가 됐을까?(김재수(렘군) 지음)_ 부동산이라는 작은 세상을 통해 배운 것



반응형

 

1. 읽은 날 : '22. 9. 20(화)

 

2. 읽은 부분 : 부동산이라는 작은 세상을 통해 배운 것 (p.17 ~ 35)


3. 주요 내용

 

01. 부동산이라는 작은 세상을 통해 배운 것

부동산 분야에서만큼은 모든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겠다고 결심함

 

레버리지

 

은행에서 신용대출 받은 5천만원으로 지방의 소형아파트 2채 매입

(매달 25만원의 현금이 입금)

 

첫 투자를 위해...

3개월 동안 재테크 관련 책 50권을 읽고, 

50개의 까페에 가입해 올라온 글을 모두 읽었으며,

현장에 최소 50번은 다녀오는 발품을 팜

 

부동산 투자를 잘하는 사람들은 레버리지를 잘 활용함 : 투자종목, 명의 등에 따라 대출금액 달라짐

세상에서는 레버리지가 돈이 아닌 시간으로 대체

 

부의 시스템

시스템? 일하지 않으면서도 현금흐름이 생기는 것

1) 월세로 현금흐름

2) 전세가를 높여 투자금 회수 후 재투자

3) 매도하여 시세차익을 얻은 후 더 많은 곳에 투자

4) 에어비앤비, 셰어하우스 등 사업 접목

 

돈이 창출되는 나무 : 임대, 컴퓨터·소프트웨어, 콘텐츠, 유통, 인적자원 시스템 (엠제이 드마코, <부의 추월차선>)

 

비즈니스의 생태계와 수익구조

 

최종적 소비 부분이 아닌 전체적인 생태계와 수익구조를 이해하게 됨

지주 → LH  → 시행사  → 건설사  → 분양사  → 은행  → 분양계약자(투자자 및 실거주자) 

(큰 부는 앞단계에서 다 가져가는 구조)

 

 

가격 상승을 결정하는 재화의 태생

 

 

부동산 : 가격이 상승하는 재화 (재테크로서의 의미를 가지게 됨)

* 주거 정착이라는 생활환경의 변화로 가격이 상승할 수 있게 됨

 

주거용 부동산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 일자리

(서울은 직주근접이 중요하나, 일자리까지 소요시간이 많지 않은 지방 소도시는 다른 요소가 더 중요함)

 

상업용 부동산 : 일자리보다는 상업시설을 이용해 줄 소비자가 가장 중요

 

 일자리를 따라 주거용 부동산, 주거용 부동산을 따라 상권 형성

 

* 앞으로의 도시는 지방에 공장이 많이 들어서기 보다는 도심의 일자리가 더 고도화 될 것

 

 

반응형

 

 

자본주의

 

자본주의는 교환에서 출발, 교환의 시작은 가치를 비교하는 것

교환에는 단순 교환과 복잡한 교환이 있음 (복잡한 정도가 클수록 수익이 커짐)

가장 큰 부자는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생태계를 만드는 사람, 작은 부자는 교환을 잘 이용하는 사람

 

 

* 단순히 수익을 내기 위한 단편적 질문을 하기 보다, 세상을 보는 눈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추면 분명 다른 길이 보일 것

미래는 현재의 연장선일 뿐.. 현재 어떤 생각을 하느냐가 매우 중요

 


4. 재테크 실천 포인트

 

1) 미래는 현재 내가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행동을 하고 있느냐가 좌우한다. 

2) 레버리지, 부의 시스템, 비즈니스 생태계와 수익구조, 가격상승을 결정하는 재화의 태생, 자본주의 등 단순히 부동산이 아닌, 세상을 보는 눈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춰보자. (질문의 힘)

 

 

반응형